popup zone

교육목표

혁신 의료 산업 수요 대응 인공지능 기반 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

인재상

  • 의료인공지능 분야 다학제 지식 기반 의료산업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
  • 의료 산업 수요의 창의적 해결 방안 도출 및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혁신형 인재
  • 글로벌 산업 수요 대응 및 의료 인공지능 트렌드를 선도하는 글로벌 인재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의료, 공학, 지능화 기술의 융합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기술은 의료영상 및 생체신호 분석, 체외진단·정밀의료, 디지털 치료, 지능형 의료 로봇 등의 개발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최근 의료인공지능은 단순한 자동화 기술을 넘어서, 의료영상 판독, 전자의무기록 분석, 생체신호 기반 질병 예측 등 복잡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고도화된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딥러닝, 자연어처리, 강화학습, 연합학습 등의 인공지능 기술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센서 네트워크 등 정보기술의 융합을 통해 가능해지고 있다. 더불어, 의료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시장 진입 및 안전한 사용을 위한 규제과학 역시 활발히 연구 중이다. 향후 의료인공지능은 기존의 진단 보조를 넘어 치료계획 수립, 환자 맞춤형 치료, 수술 보조, 만성질환 관리 등 보다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융합, 디지털 트윈 기반 시뮬레이션 등과의 통합을 통해 미래 의료의 패러다임을 혁신할 수 있는 핵심 학문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졸업 후 진출 분야

의료인공지능공학과는 의료 데이터 솔루션 트랙과 의료인공지능융합시스템 트랙을 통해 학생들이 의료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데이터 사이언스, 시스템 설계 등 다양한 헬스케어 분야에 특화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합니다.

 

진출분야

 

의료, IT, 공학, 데이터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형 전문가로 성장하여 아래와 같은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의료 데이터 해석력과 인공지능 개발 역량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로서 다양한 산업에 필요한 인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졸업 후 분야별 진로

 

정부 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보건연구원 등
학술 분야 동국대학교 의료인공지능공학과 대학원, 의료기기산업학과, 바이오헬스의료기기규제과학과, 국공립 및 사립 병원 연구소, 해외 유수 대학원 등
산업 분야 삼성전자, 삼성 메디슨, 카카오헬스케어, 네이버헬스케어, Siemens Healthineers, 오스템, 올림푸스, 씨젠, 루닛, 뷰노, JLK 등 의료 인공지능 관련 중견 기업
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융합기술실용화연구원 등